Minsang Cho, Northern Lights, 2023
The Nebra Sky Disc stands as an ancient artifact, offering an early glimpse into humanity’s fascination with the cosmos. It portrays celestial elements like the Sun, Moon, and stars, providing a tangible record of our earliest attempts to comprehend the universe. ‘Northern Lights’ serves as a contemporary inter- pretation of how ancient civilizations once observed and documented the celestial wonders. In this juxtaposition of ancient wisdom and modern perception, the depiction of the night sky becomes more intricate, eventually blurred by the complexities of three-dimensional artistry. ‘Northern Lights’ pays homage to this ancient legacy. It strives to project not only aesthetic beauty but also the essence of wonder and curiosity it embodies. This connection between ancient marvel and the work seeks to emphasize humanity’s enduring curiosity about the cosmos, uniting the past and present through the universal language of light and celestial imagery.
Leenam Lee, Landscape Remembered, 2023
The act of recording may be to remember something permanently. Human beings and generations have appeared and disappeared throughout history, but traces of heritage remain. The work <Landscape Remembered> reconstructs the legacies of different acts of recording and traces between continents and civilizations from the Eastern worldview of landscape painting. Fragmented documentary heritage meets, intersects, and creates new stories and relationships in digital media. These recording media move in digital arithmetic and convey mighty power in people’s memories. Through <Landscape Remembered>, the artist seeks to show the inflexion point in communication by connecting ancient and modern times as an intermediary in digital media technology.
Sammy Lee, Codex Cornucopia, 2023
Codex means a manuscript book especially of Scripture, classics, or ancient annals. Cornucopia, “the horn of plenty” is the symbol of abundance and overflow. It is descriptive of the exponential amount of data generated in the digital age. The work shows how the materiality of the past becomes digitized and enters into a digital ecosystem – suddenly bone, stone, papyrus, vellum, paper, daguerreotype – is represented on the same plane, through the same light on our screens. As a large-scale media installation, <Codex Cornucopia> explores and celebrates this feeling of cornucopia through a whimsical firework display of images and sound. Constructing the work using a video games engine, the world makes the hyper-dimensionality of memory in the digital age, like entering into a fractal labyrinth.
Minsu Oh, Historical Mapping, 2023
In 1795 (the 1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eongjo of the Joseon Dynasty), King Jeongjo accompanied his mother, Lady Hyegyeong, to Hwaseong (Suwon). The scenes from Uigwe <Hwaseong Royal Cemetery Procession> depict the procession on a folding screen divided into eight panels. The artist combines these scenes with landscape paintings to form sets that transcend time and space with modern-day figures. This work is a 10m horizontal landscape painting combining seven sheets of 150×210cm Korean paper. The beautiful landscapes are expressed in a rough yet realistic way using ink and color and then painted into large-scale paintings. The people watching the procession are composed of modern-day figures, creating a chain of time connecting the past and present. At this time, the landscape is a utopian space created by reconstructing the actual scenery of Jeju, where the artist mainly works.
국문 버전:
조민상, 별의 궤적, 2023
네브라 스카이 디스크는 천문현상을 이해하려는 고대 인류의 노력에 더불어 우주와 자연에 대한 인간의 경외심을 엿보게 해주는 유물이다. 3500년 전의 인류는 원형의 청동판에 태양, 달, 별의 천체를 새겨놓고 금으로 덧씌우는 방법으로 그들이 이해 하고있던 우주와 이를 둘러싼 자연의 법칙을 구체적으로 기록했다. ‘별의 궤적’ 은 천체의 현상을 경외심속에 관찰하고 기록한 고대 인류의 흔적을 현대적 세계관으로 재해석 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북쪽하늘에 동심원을 그리며 돌아가는 천체의 이미지를 빛이라는 보편된 시각언어로 묘사해 고대인의 우주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우주를 연결해 주는 시각적 매개체로 사용했다. 평면으로서의 천체의 인식을 바탕으로 형성된 고대인의 세계관에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가진 삼차원의 우주의 모습을 투영했을때 고대인들의 천체의 묘사는 명료함을 떠나 복잡해지다 흐릿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브라 스카이 디스크의 용도가 우주의 신비를 이해하고 묘사해내는데 있듯이 ‘별의 궤적’ 은 이 경이로운 유물의 미학적 아름다움 뿐 아니라 그 안에 담긴 미지의 세계에 대한 경외와 호기심의 본질을 표현하려는 노력이다.
이이남, 기억되는 산수, 2023
기록하는 행위는 무엇인가를 영속적으로 기억하기 위함일 것이다. 인류와 세대는 역사 속에서 나타나고 사라졌지만 유산의 흔적들은 여전히 우리 곁에 남아있다. 작품 <기억되는 산수>는 대륙 간, 문명 간에 서로 다른 기록의 행위와 흔적의 유산들을 산수화라는 동양적 세계관에서 재구성된다. 파편화된 기록유산들이 디지털 미디어 안에서 만나고, 교차하며 새로운 이야기들과 관계들을 맺게 된다. 이러한 기록매체들이 디지털 산수 속에서 움직이며 사람들의 기억에 강력한 전달력을 갖게 된다. 작가는 <기억되는 산수>를 통해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중간자 위치에서 고대와 현대를 연결하며 소통의 변곡점을 보여주고자 한다.
쌔미리, 고문서 풍요의 보고, 2023
코덱스(Codex)는 특히 성경, 고전, 고대 연대기 등의 사본을 의미한다. 코루뉴코피아는 신화 속 ‘풍요의 뿔’로 풍요와 넘침의 상징이다. 이는 두 단어가 합쳐진 작품명으로 디지털 시대에 생성되는 데이터의 기하급수적인 양을 설명한다. 이 작품은 세계기록유산의 물질성이 어떻게 디지털화되어 디지털 생태계로 진입하는지를 보여준다. 뼈, 돌, 파피루스, 양피지, 종이, 은판 사진 등이 빛을 발하는 하나의 스크린에 평면에 재현된다. 대규모 미디어 설치물 <고문서 풍요의 보고>는 유산의 이미지와 사운드가 기발한 불꽃놀이와 같은 빛을 통해 화면에 울려퍼지며, 풍요의 뿔에서 나오는 수확의 느낌을 탐색하고 기념한다. 세계기록유산의 작품을 스캐닝하고, 비디오 게임 엔진을 이용해 작품을 구성하는 세상은 디지털 시대 기억의 초차원성이 마치 프랙탈 미로에 들어가는 듯 만든다.
오민수, 산수유람, 2023
1795년(조선 정조 19)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모시고 수원 화성으로 행차하였을 때 정조가 계획하고 진행한 행사들을 8폭에 나누어 그린 병풍인 “화성능행도병”의 장면을 시각의 산수도(山水圖)에 재구성하여 현대의 인물들과 어우려져 시공간을 뛰어 넘는 의궤의 형상을 구성한다. 이 작품은 150×210cm의 한지가 7장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10m의 횡권산수도 이다. 산수의 수려한 경관들을 수묵으로 거칠면서도 현실감 있게 표현하고, 채색을 겻들여 대형 산수도로 그린다. 그리고 행렬을 구경하는 사람들은 현대의 인물들로 구성, 과거와 현재를 잇는 시간의 고리를 만든다. 이때 산수는 작가가 주로 작품 활동하는 제주의 실경을 재구성하여 만든 이상향의 공간이다.
Into the Light: Memory of the World
Curated by Dr. Stephanie Seungmin Kim
Hosted by UNESCO ICDH
Organized by Sleepers Summit and C-47 Post Studio
Exhibition Space at UNESCO ICDH 2nd floor Exhibition Hall
Exhibition Date: Nov. 2 2023 – Jun. 28 2024
Artwork by: Minsang Cho, Leenam Lee, Sammy Lee and Minsu Oh
_____
주최 : UNESCO ICDH
기획/진행 : Sleepers Summit, C-47 Post Studio
전시장소 : 유네스코 국제기록유산센터 2층 전시실
전시명: 세계기록유산, 인류의 빛이 되다
전시기간: 2023년 11월 2일 ~ 2024년 6월 28일, 10:00~17:00 * 주말 및 공휴일 휴관
참여작가: 조민상, 이이남, 쌔미리, 오민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