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짝 반짝을 뜻하는 제주 방언 <벨롤벨롱>과 Now를 합친 신종어 <벨롱벨옹나우 페스티벌>은 더 나은 미래사회를 위해 환경부터 전통문화, 예술계의 생태계, 교육까지 네 분야의 지속가능성을 예술로 승화시킨 아이디어 페스티벌입니다.
Bellong Bellong Now is an art festival, exploring a sustainable future as we focus on four areas relating to sustainability. Those four themes were: environment, heritage, the ecology of art, and education. The name is derived from “Bellong Bellong” meaning “Twinkle Twinkle” in Jeju dialect combined with an English word ‘now’.
이번 출판은 지난 10월 22일부터 25일까지 제주도 동부, 서부 두 지역, 네 곳에서 선보인 벨롱벨롱나우 행보를 이어갑니다. 4일간의 페스티벌을 위해 1년간의 리서치와 온, 오프라인 회의, 제주 학생들과 다채로운 워크샵, 현지 분들과의 인터뷰, 작가와의 기획 회의 및 다양한 펀드레이징까지 수많은 많은 노력과 시간을 쏟았습니다. 그러던 중 팬데믹으로 인해 기획 수정과, 방역 대책 수립, 행사를 열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 유튜브 채널을 만들고 생방송 영상팀도 꾸렸습니다. 그야말로 다사다난한 준비과정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그 모든 과정이 전례없는 페스티벌을 탄생시킨 생명줄이 되었습니다. 이제 그 둘도 없는 기획전을 출판을 통해 더 많은 사람에게 전파하고, 예술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This publication continues the trajectory continued by the four-day festival held from 22 October to 25 October in various locations on Jeju Island’s East and the West. The four days were in fact the culmination of numerous efforts and workshops with the residents that lasted for more than a year. These times were filled with interviews with the Jeju island residents, workshops with children, interviews with key witnesses and planning strategic meetings with artists. During this time, the spread of COVID-19 forced us to alter various plans and restricted travels by international participants, and growing concerns on unlikability of holding physical events pervaded us all, Sleepers Summit considered an alternative way, making the festival to take place virtually. Thus the program came to includd live-streamed exhibition, youtube channel filled with artists’ interviews and online talks and conference by an online live streaming team. Such eventful and long preparation paved its way for the unprecedented festival.
슬리퍼스써밋이 주최, 주관한 이번 행사는 한국예술문화예술위원회의 대국민 문화 사업 중 하나로, 작년 3월 발표와 함께, 저희에게 날개를 달아줬습니다.본 행사는 한동리, 평대리, 플레이스캠프가 속한 제주 동부에서는 와 퍼포먼스, 영화야외상영회, 플리마켓, 레지던시가 열렸으며, 서부 지역에서는 ‘예술곶 산양’과 공동 주관으로 컨퍼런스, 전시, 체험 ,네트워킹 행사가 개최됐습니다. <2020벨롱벨롱나우>는 건축, 교육, 디자인, 미술, 음악, 정치외교, 철학 분야 등, 사회, 문화 전반의 영역을 다루는 복합적 국제 협업 프로젝트였습니다.
Bellong Bellong Now is hosted by Sleepers Summit and supported by Arts Council of Korea’s national programme. The funding enabled Sleepers Summit to carry out the endeavour further. The festival had performances, outdoor film screenings, flea market, residencies in Handong-ri, Pyungdae-ri, and PlayceCamp Jeju in the East Jeju, and an all-day conference, an exhibition, workshops, a networking event and the Sleeper Summit event in ArtLab Sanyang in the West Jeju, co-organised by the newly opening Artist residency. Bellong Bellong Now has become a multi-disciplinary international collaborative project that traverses architecture, education, design, art, music, diplomatic politics, politics, and society.
‘글로벌 뉴노멀’이라 말해보면 어떨까요. 팬더믹은 더이상 한나라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 – 코로나부터 기후변화까지 – 가 우리 앞에 있음을 증명했습니다. 그리고 이 문제를 해결키 위해선 국제협력에서 나온 창의적인 해결책이 더 필요합니다. 그렇게 벨롱벨롱나우는 코로나로 인해 발이 묶임과 동시에 우리가 고민하던 논제가 더더욱 필요해 짐을 실시간으로 느꼈습니다. 우리가 잘하는 방식으로 시류를 읽고 앞서 가고자 합니다. 창의성을 강조한 교육, 달라진 환경을 기반한 예술, 환경과 더불어 살던 선조들의 지혜 섞인 전통, 예술의 생태계, 총 네 분야의 지속가능성을 예술로 꿈꿔보기로 했습니다.
Some say ‘Global is New Normal’. The pandemic made us grasp that not one country could solve a problem by itself. From pandemic to Climate change, the urgent matters are globally at stake. This also means we need a creative solution from international collaboration. Persisted, and we continued discussing issues in more creative ways. Although Bellong Bellong Now became limited in its international participation due to the covid-related travel restrictions, its ethos has become ever more necessary. We, creators and artists, haven’t ceased working, and reading the time head of its times is what art is good at. Sleepers Summit dreams the impossible dream of education focusing on creativity’, art that evokes and speaks of our environment, sustainable ways of living from the tradition that focused on living with nature, and ecological arts events and management to continue to voice out.
두 가지 음과 양 프로젝트는 김기대 작가와 함께했습니다. 제주에서 버려진 집을 고치는 작업을 하는 김기대 작가를 만나, 그 집에 살던 여성의 삶 속에서 어떤 지혜를 전달 할 수 있는지 고민했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을, 리스본 미술건축박물관을 설계한 영국 건축가 ‘맥스밀리아노 아로셋과 연결시켜 한국과 제주의 전통과 유럽과 남미 전통건축기법과 비교해보고, 어떤 방식으로 친환경적 재료로 건축을 전통적이면서 현대적으로 지을 수 있을지 관객과 나누는 작업을 했습니다. 우리 전통에서는 늘 음과 양의 조화를 강조 했 듯, 벨롱벨롱나우도 양지만이 아닌 뿌리를 머문 슾한 땅의 중요성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했습니다. 화려한 모습만 보여주려고함이 아닌 진중한 이야기를 나눠고 싶었습니다. 전선영은, 마치 이 부분을 반영하듯, 맨눈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작가가 작업들을 아궁이 속, 처마 밑,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설치했기 때문입니다. 한동리를 방문하는 관객들은 대신 어플을 통해 내시경에 비췬 그 세계를 볼 수 있습니다. 김기대 작가가 마련한 평대리에서 김성우는 제주해녀 모녀의 이야기를 시로 지었습니다., 철판에 새겨 진 작업은 정육면체 조각이 되어 안에서 부터 빛을 발합니다. 숨은 이야기를 메타포로 한 빛으로 어두운 공간에 투여하는 설치 작품은 폐가를 밝혔습니다.김예니 작가는 제주 해녀들과의 생생한 인터뷰를 통해 그들만의 끈질긴 삶을 성산초등학교 아이들과 워크샵을 하고 그 워크샵에서 따온 해산물의 모양을 따고, 태왁도 만드는 과정을 통해 그림책을 만들었습니다. 제주어와 표준어가 양쪽에 써있는 그림책 입니다. 미술작가 양쿠라와 이탈리아 건축가 마리아 질로니와 함께 해양 쓰레기로 만든 움직이는 나무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서낭당처럼 희망을 이야기하는 이 작업은 개막식에 조아라의 퍼포먼스를 통해 지친 바다의 넋을 위로하는 굿으로 안성되었습니다. 박봉수는 제주의 설화와 꿈을 조사하여, 제주와 여러 나라에 사는 사람들과 함께 워크샵을 진행하고, 전자음악가 하임 (haihm)과의 협업을 통해 제주도 이야기와 설화를 엮은 영상 설치를 음악과 함꼐 장소에 설치, 꿈처럼 몽환적인 공간에 관객이 참여할수 있는 작품으로 만들었습니다
Artists Kidai Kim has creatively reimagined the abandoned shelter in our two Yin & Yang project while imagining humanistic nature of the life of the woman who lived in the same house. Kidai was linked with Maximiliano Arrocet, an architect who designed Lisbon’s Museum of Art., Architecture and Technology, to communicate and share each other’s knowledge about traditional building materials and wisdom. Maximiliano further advised various eco-friendly material that is also contemporary. Just as our tradition put the emphasis on the harmony of the Yin and Yang. Bellong Bellong Now strived to share not only the importance of the sunny side but also the land that embraces the roots. Chun Sunyoung’s work thus is not visible in the naked eyes. Her results are hidden inside the alcove, under the roof, away from human eyes. However, she placed an endoscopic camera, so the audience who visits the site can see it through one’s mobile phone. Woody Kim has interviewed residents around Pyungdaeri to find out stories and create a new set of poems. These new poems will be carved into the metal, creating a cube and a pair of free-standing sculptures, and lights were shown from within, and the words also reaching different parts of the house. Yeni Kim has created a picture book within dialect through interviews and workshops. Jeju dialect the culture of female divers are two cultural properties being endangered. She thus interviewed Jeju’s haenyeo (female divers) and shared the distinctive words used by haenyeo children from Seonheul branch of Hamduk Elementary School in Jeju and created a narrative and pictures unique picture book.
Artist Yangkura and architect Maria Glionna have created The Tree of Souls from Ocean using sea debris collected from Jeju beaches. Jeju is confronting a severe issue of waste, as its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visitors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past few years. Still, a large volume of ocean waste arrives from other countries nearby. Based on the traditional wish shrine based on the island’s indigenous religion, the Tree was shown to the public with an exceptional performance by Ara Jo based on Jeju’s indigenous religion to coerce the tired and polluted soul ocean. Artist Bongsu Park and a musician Haihm created a site-specific audio-visual artwork where the audience could walk in as if walking into the dreamworld filled with visual and sound art. Bongsu had researched about myth and dream interpretations of the Jeju and ran a zoom workshop with various participants, making a highly symbolic set of visuals, and Haihm has also worked a live set for the opening.
The drive force of Bellong Bellong Now comes from people. I will always remember the efforts of Yeony and Yunji, the key producers of BBNF, and Steve Choe, and advice from Kyunghoon Lee since the initial stage of the planning. We met Daewoo Kim, the General Manager of the Playcecamp, Sohyun Choi of the _ and Chung Sanghoon manager. I thank all the artists for the formidable conversations, and I am especially indebted to Kidai and Kura whose knowledge about Jeju became instrumental. During the process, another turn of luck happened when I was introduced to Artlab, Sunyang through Kura. We met resourceful and thoughtful.
Yang Misook manger of the Artlab Sunyanng and Lee Seungtaek, the Director of the Jeju Cultural Foundation. Bellong Bellong Now could exist in the virtual world simultaneously through the through planning by Janet Lee. Every programme was live-streamed, thanks to Shim Gun, Jungin, Joonyoung, Dongwook, and Woosung whose cameras did wonders. There’s always Yang Boyeon proofing all Korena texts and Joshua Rose-Nokes looking over English texts. Indebted for Sleepers Summit’s supporters including Woohyuk Park, and this catalogue was designed by Haeyougn lee.
이번 벨롱벨롱나우도 사람을 만나 완성했습니다. 기획처음부터 밤을 새며 일을 한 도연희, 조윤지 매니저의 열정과 삼성디자인 이경훈 소장님의 조언을 잊지 않고 있습니다. 양쿠라 작가와 김기대 작로부터 큰 도움을 받았습니다. 예술곶 산양 양미숙 팀장을, 제주문화예술재단 이승택 이사장님을 만나 예술곶, 산양까지 등에 엎게 된 <벨롱벨롱나우>로 발전했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은 이경아 영상 감독의 철저한 기획으로 생방송되었고, 그 전에 작가들의 다양한 모습까지 연장선으로 듣고 작품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영상팀으로 심건, 정인, 우성, 준영, 동욱 감독, 그리고 제 글을 꼼꼼히 봐주고 응원해주는 양보연 프로듀서, 모든 영문 뒤 조슈아 로즈녹스 디렉터, 늘 응원해주는 박우혁 디렉터, 그리고 멋진 도록을 만들어준 이해영 디자이너까지 모두 언급하고 싶습니다. 추운 바람을 이겨준 많은 볼런티어 지킴이들, 모두에게 감사를 전하며 저와 슬리퍼스 써밋은 모두가 더 나은 2021년을 만나길 기원합니다,
마지막으로 슬리퍼스써밋 기획자 그룹이자 열정과 도전, 노력으로 늘 자극을 주는 제 팔과 다리와도 같은 도연희, 조윤지, 이경아에게 고마움을 전합니다.
–김승민 드림.
– 김승민 큐레이터 (슬리퍼스써밋 대표) aka Stephanie Seungmin Kim